설치 환경 세팅

1. 도커(Docker) 혹은 파드맨(Podman) 설치

1.1. 엔진 선택

사용하고자 하는 엔진에 따라 도커 혹은 파드맨을 설치한다.

  • Docker 엔진을 사용할 경우

    • Docker-compose, Kubernetes 를 통해 SysMaster DB를 구동할 수 있다.

  • RHEL의 Podman 엔진을 사용할 경우

    • Podman-compose 환경을 통해 SysMaster DB를 구동할 수 있다.

1.2. 도커(Docker) 엔진 설치

아래의 주소에서 도커 엔진 설치 방법 문서를 확인한 후 운영체제에 맞는 도커 엔진을 설치한다.

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install/

설치 환경의 인터넷 연결 여부에 따른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  •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경우

    • "Install using the repository" 과정에 따라 설치한다.

    • 이때 별도의 버전을 명시하지 않고 가장 최신 버전을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.

  •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

이때 도커 엔진 설치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패키지는 docker-ce, docker-ce-cli, containerd.io, docker-compose-plugin이다.

참고

리눅스의 경우 도커 엔진 설치 이후 sudo 명령어 없이 운영하기 위해 아래 주소를 참고하여 시스템 구성하는 것을 권장한다.

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install/linux-postinstall/

docker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도커/ 파드맨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
1.3 파드맨(Podman) 엔진 설치

아래의 주소에서 설치 방법을 확인한 후 설치한다.

https://podman.io/get-started

파드맨 엔진 설치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패키지는 podman, Slirp4netns, podman-plugins이다.

참고

파드맨(Podman)은 rootless container 기능을 지원하여 sudo 명령어 없이 컨테이너를 운용할 수 있다. Linux Kernel 4.18 이하에서는 디스크 볼륨을 rootless container에 마운트 할 수 없기 때문에 Podman은 Red Hat Enterprise Linux 8 이상부터 지원한다.

podman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도커/ 파드맨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

2. SysMaster DB 8 구동 플랫폼 설치

'Docker-compose', 'Kubernetes', 'Podman-compose' 중에서 하나만 선택하여 설치한다.

  • Docker-compose

    • Docker 설치 시 docker-compose-plugin 패키지가 함께 설치된다. Docker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docker-compose 환경을 위한 별도의 추가 설치 과정은 필요 없다.

    • docker compose version 명령을 사용해 정상적으로 docker compose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
  • Podman-compose

    • Podman-compose 는 podman 을 docker-compose 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다.

    • Python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pip를 사용해서 설치한다 sudo pip3 install podman-compose

    • 정상적으로 podman-compose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 podman-compose version

  • Kubernetes

Last updated